http://www.artis.co.kr/blog/392
먼저 USB 메모리를 파티션을 해줍니다.
저의 경우는 8기가를 200M(fat32) 나머지를 mac osx extended (journaled)로 파티션을 2개를 만들었습니다.
(맥에서 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디스크관리자나 혹은 명령어 창에서 diskpart로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200m 부분을 boot-132 설치합니다.
메뉴얼에 나온 Syslinux 3.6.3 받고 압축풀면 /win32/syslinux.exe 가 있습니다.
실행창 열고 syslinux.exe -ma f:(usb 드라이브 명) 해주시고
미니요 boot123 파일 다운 받은거 풀어넣습니다. 이때 기존에 있던 파일 오버라이트 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리테일 디브디를 맥에서 디스크유틸리티의 복원기능을 이용해서 뒤쪽 파티션에 넣습니다.
윈도우에서는 이미지 파일을 가지고 복원하시려면 첨부된 유틸리트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국 프로그램이네요.. 실행해서 맨위에 이미지 파일 위치 지정하고
두번째줄에 USB 드라이브에서 fat32로 해주신 드라이브 선택하시면 됩니다.(맥에서는 그냥 맥오에스 파티션으로 했습니다)
윈도우에서 모두 작업하시는 분들은 7.xx기가도 fat32로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시면 스틱 준비완료입니다.
이후는 메뉴얼 참조하시면 되구요..
부팅후 esc 누르고 난후 81 입력하면 부트로더가 나오는데 아래쪽에 인스톨 디브디가 보일겁니다. 그거 선택하고 실행해서 완료후 다시 usb stick으로 부팅해서 esc 누르고 이번엔 80 누르면 설치된 맥으로 부팅되고 등록작업과 설정한후에 앞부분에 드라이브에 들어있는 미니용 스크립트 인스톨 이미지를 마운트해서 미니스크립트 실행하면 부트로도와 드라이버 한번에 설치됩니다.
온라인으로 썼더니 좀 횡설수설..ㅋㅋ. 디브디 드라이브 없는 분들은 아마 이방법이 쉬울듯 합니다. 한번만 만들어두면 뭐 언제든지 레오파드는 한방설치죠.
----------------------------
내용 그대로 퍼옴 (DELL Inspiron mini Korean USER Forum)
http://cafe.naver.com/dellmini/12561